Get us in your inbox

검색
wine

AUGUST

8월에 다가오는 크고 작은 이벤트

광고하는
  • Things to do
  • 시장 & 페어
  • 종로구
‘노인들의 홍대’라고 불리는 시장은? 바로 동묘 벼룩시장이다. 관우를 모신 사당인 동관왕묘 주변에 형성된 빈티지 시장이다. 동묘역 3번 출구로 나와 30 초 정도만 걸으면 왁자지껄한 시장 초입, 사당의 돌담을 따라 청계천까지 하루 수백 개가 넘는 좌판이 늘어 서며, 구석구석 골목까지 구제 의류, 골동품, LP판, 잡화 등 ‘없는 것 빼고 다 있는’ 벼룩시장이 열린다. 빈티지 의류와 패션 아이템을 주로 파는 특징 때문인지 한껏 멋을 내며 걸어가는 이색 포스의 노인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백구두에 중절모는 기본, 레이스 달린 블라우스와 찰랑이는 금팔찌는 덤이다. 그렇다고 이곳이 ‘노인들의 천국’인 것만은 아니다. 의 한 멤버가 “샤넬과 루이 비통 부럽지 않은 패션 아이템을 득템할 수 있는 곳”이라며 치켜세운 후로 젊은 층에게도 인기다. 삼삼오오 동묘 앞을 어슬렁거리는 청춘들은 한 장에 천원이면 살 수 있는 좌판에서 옷을 고르기에 여념이 없고, 가을이면 야상을, 겨울에는 인조 모피를 쇼핑한다. 검은색 비닐봉지를 흔드는 사람들, 손수레 가득 ‘나만의 골동품’을 쌓은 채 돌아다니는 외국인 관광객까지, 빈티지 거리는 어느덧 서울 재래시장의 핫 플레이스가 되었다. 쇼핑을 할 때는 천원짜리 지폐를 넉넉히 준비해오는 것이 좋은데, 그래야 흥정이 편하다. 좋은 물건을 먼저 얻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장이 서는 시간에 맞춰 일찍 찾아가는 것도 방법. 참고로 동묘 벼룩시장은 주중엔 오후 2시부터,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일몰 전까지 장이 서며 매달 둘째, 넷째 주 화요일은 휴일이다.
Dialogue in the dark(어둠속의 대화)
  • Things to do
얼굴을 모르는 남녀가 암흑 같은 공간에서 대화를 나누고 마음을 확인하던 의 한 장면을 기억하는지. 서울에도 어둠의 진면목(?)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물론 로맨틱한 만남을 위해 만들어진 공간은 아니다. 북촌에 위치한 상설 전시 공간 가 바로 그곳. 이 전시는 1988년 독일의 안드레아스 하이네케 박사에 의해 우연한 계기로 시작됐다. 함께 일하던 동료가 실명을 하게 되고, 그것에 적응하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본 박사가 깨달음을 얻고 작은 창고를 개조해 전시를 하게 된 것. 현재는 전 세계 160여 지역에서 900만 명 이상이 경험한 글로벌 전시다. 관람자들은 핸드폰도, 전자시계도 들고 들어갈 수 없는 전시장에서 100분 동안 로드 마스터의 안내에 따라 전시를 체험한다. 지팡이 하나와 더듬을 수 있는 벽, 그리고 목소리에 의존해 테마별로 마련된 공간으로 이동한다. 단순히 시각 장애를 체험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공감각적 경험이 가능하도록 바람, 물, 온도까지 신경 써 세트를 완성했다. 완전히 어둡고 밀폐된 공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8세 이상부터 70세 이하인 사람만 관람이 가능하며, 폐쇄 공포증 같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관람 전 상담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소규모 그룹으로 체험하기 때문에 사전 예매는 필수. 단체 관람의 경우 최대 8명까지 신청이 가능(유선 예매)하다.
광고하는
추천작
    추천작
    추천작
    광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