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란듀란

응답하라, 너와 나의 80년대

장기자랑 1등 선물로 받은 ‘마이마이’로 이문세 노래를 듣던 덕선이(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의 혜리 역)가 살던 시절, 가깝고도 먼 80년대 그 시절에 대한 사적인 이야기. 글 조원희(영화감독, 칼럼니스트)

광고하는

1980년대는 정말이지 풍요로웠다. 마이클 잭슨도, 데이비드 보위도 살아 있던 시대. 아니, 살아 있는 정도가 아니라 최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응답하라 1988>에 등장하는 가요도 좋지만 사실 국내에는 해외 팝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다. FM 라디오가 생긴 이후로 하루 종일 편성된 음악 방송 중 팝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절대다수를 차지했었다. 물론 조용필처럼 젊은 세대와 나이 든 세대 모두가 열광하는 아티스트도 있었고 이문세처럼 젊은이들에게 특화된 뮤지션, 그리고 그 중간쯤 위치한 이선희 같은 싱어도 존재했지만 어쨌든 ‘가요’가 아닌 팝 음악이 주류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나는 누군가 1980년대 음악이 어떤 것인가를 물어왔을 때 설명할 시간이 없으면 우선 ‘듀란 듀란을 들어보세요’라고 말한다. 듀란 듀란은 1980년대 음악 신의 모든 것을 샘플링한 것 같은 밴드다. 장르적으로 마침 철이 지나버린 디스코 시대의 훵크와 부흥기를 거쳐 절정기에 이르고 있던 신스팝의 향취를 가미하는 악곡적 스타일과 더불어 듣는 음악에서 ‘보면서 즐기는 음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 MTV의 출현으로, 듀란듀란은 영국에서 건너와 미국을 점령하는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첨병으로 활약했다. 딱 한 번 듣는 순간 중독되는 마력의 멜로디 라인과 순정만화의 한 페이지에서 프레임을 뜯고 탈출한 듯 한 비주얼은 나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수많은 팬을 만들었다.

그렇다고 우리가 듀란 듀란만 들은 건 아니다. ‘팝송만 듣는 겉멋 찌든 중고생’의 마음속에 파고들어온 음악 역시 존재한다. 산울림은 ‘가지마오’(1981)처럼 폭발하는 듯 달리는 록 음악으로 몸을 흔들게 만들다가도, ‘그대 떠나는 날 비가 오는가’(1986) 같은 곡을 내놓았다. 비 오는 날이면 음악다방에서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그 노래를 들었다. 전국이 ‘Bambina’ 같은 유럽 댄스 뮤직에 열광하고 있을 때에도, 이재민은 ‘골목길’과 ‘제 여인의 이름은’ 같이 어딘가 매드 체스터 사운드(80년대 후반부터 영국 맨체스터에서 발달된 얼터너티브 록)를 닮은 노래를 뚱딴지같이 던져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 당시 아직 한국은 트로트라는, 엄격하게 말하자면 잘못 사용되고 있는 장르의 명칭이 국내 가요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재민은 아주 조금씩 영미권 팝 음악과의 동기화를 꾀하고 있는 그런 찰나를 보여주는 뮤지션이었다. 한편으로 언더그라운드에서 김현식과 동물원, 들국화가, 그리고 어떤 날이 ‘글로벌한 유행과는 상관없이 독자적인 스타일의 노래’들로 마음을 사로잡고 있었다. 지금 와서 돌아보면 아직까지 우리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노래는 TV를 틀면 나오던 곡들이 아니다. 대신 길거리와 지하실에서 울려 퍼지던 그런 곡들이 아닐까. 동물원의 ‘혜화동’이나 전인권의 ‘걱정 말아요 그대’처럼.

80년대는 모든 게 빈곤해 대중문화를 향유하기 힘들었던 그 이전 세대와 터치 한 번으로 새로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다음 세대의 중간 세대였다. ‘영미권 팝 신곡을 듣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달 이상의 기다림이 필수였고, 운이 좋은 사람이라면 동네 음반 가게에서, 아니라면 버스를 타고 중심가에 나가서 LP를 구입해야만 새로운 노래를 ‘소유할’ 수 있었던 시절이다. 라디오를 들으며 재활용 영어회화 테이프를 꽂아놓고 좋아하는 노래나 심상치 않은 전주가 들리면 먹이를 사냥하는 독수리의 속도로 녹음 버튼을 눌러야만 했던 시절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이전 세대의 선배로부터는 편한 세상 산다는 잔소리를 들어야 했다. 워크맨을 허리에 차고 있는 우리에게 선배들은 ‘우리 시절에는 시내 다방에 나가야만 축음기가 있었다’고 말하던 시절이었다.

이제 80년대에 청춘을 보낸 이들은 앞서 말한 ‘선배’의 위치에 와 있다. 하지만 그들은 뒷짐지고 ‘우리 시절은 달랐다’는 식의 이야기만 늘어놓지는 않는다. 대신 80년대 음악을 21세기에 판매한다. <응답하라 1988>의 노래들은 물론이고, 박진영을 비롯한 거대 기획사를 지닌 ‘그 세대’들은 80년대 음악을 기반으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아이돌 그룹에게 안겨주고 있다. 어느 시대의 복고보다 80년대의 복고가 ‘잘 팔리는’ 건 분명히 그 시대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그렇겠지. 마이클 잭슨이 1억 장을 팔고, 휘트니 휴스턴이 데뷔하고, 데이비드 보위가 세계 투어를 매진시키던 시절이었으니까. 

추천작
    추천작
    추천작
    광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