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3년 잠실에서 태어난 사진작가 정지현은 아파트에서 자란 ‘아파트 키드’다. 2000년대 초반 대부분의 ‘아파트 키드’가 그러하듯 작가 역시 재건축으로 유년의 세계가 소멸하는 과정을 목격했고, 그 충격은 자연스럽게 아파트, 그리고 재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정지현은 철거 중인 건물에 빨간 방을 만들었다.
1983년 잠실에서 태어난 사진작가 정지현은 아파트에서 자란 ‘아파트 키드’다. 2000년대 초반 대부분의 ‘아파트 키드’가 그러하듯 작가 역시 재건축으로 유년의 세계가 소멸하는 과정을 목격했고, 그 충격은 자연스럽게 아파트, 그리고 재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간혹 어른들은 ‘그래도 예전이 살기 좋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지나간 어제와 달리 현실은 언제나 녹록지 않다. 23살의 대학원생이던 구성수가 기록한 24년 전의 서울도 그렇다. 어느 것 하나 분명하지 않은 내일을 위해, 사람들은 각자의 고단함을 견디며 일상을 이어나갔다.
가족사진치고 가족을 제대로 보여주는 사진은 거의 없다. 스튜디오에서 새하얀 조명을 맞아본 적이 있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평소에 입지 않는 옷 매무새를 바로잡다 보면 사진가의 목소리 들려온다. “자, 자연스럽게 웃어보세요”. 이렇게 낯선 곳에서 화목한 척을 하라니! 하지만 정연두의 사진 속 인물들은 비교적 편안해 보이면서도, 어딘가 모르게 생소하다. 척추를 곧게 펴고 카메라를 응시하는 가족들. 그들의 미소는 어색하기 짝이 없지만, 사진은 단순한 인물이 아닌, 각각 가족의 분위기를 살려낸다. 작가는 카메라를 들고 직접 가족의 집을 방문했기 때문이다.
라디오를 스마트폰처럼 애지중지했던 80년대. 핸드폰으로 TV를 챙겨 보는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시절이지만 “전국노래자랑”은 X세대가 태어나기 전부터 경기도 오산의 슈퍼우먼, 노래하는 충남의 할머니 등 연령과 국적 불문의 독특한 재주꾼들을 조명해왔다. TV에 비춰지는 순간 연예인으로 급부상하고, 방송이 끝나면 동네에서 알아주는 재주꾼으로 돌아가는 ‘빤짝스타’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순식간에 잊혀지는 것이 또 순리였다. 그러나 변순철은 2005년부터 “전국노래자랑”의 출연자들을 사진으로 담아왔다.
하지만 작가 여지(Ji Yeo)는 성형 후 회복이 필요한 서울 여자들을 ‘섭외’해 밥을 챙겨주고, 그들의 호텔비를 내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여기서 굳이 섭외라는 말을 쓴 것은, 성형수술을 마친 자를 대상으로 무엇이든 해주겠다는 광고를 인터넷 성형 카페에 냈기 때문이다. 미쳤냐고 욕을 먹거나, 천만원을 줘도 안 한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Discover Time Out original video